<p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filename="01.png" data-origin-width="1920" data-origin-height="1080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wWni/btsEBrDEGRH/V0y8PcSBkuw7FQukCZoTf0/img.png" data-lightbox="lightbox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wWni/btsEBrDEGRH/V0y8PcSBkuw7FQukCZoTf0/img.pn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XwWni%2FbtsEBrDEGRH%2FV0y8PcSBkuw7FQukCZoTf0%2Fimg.pn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filename="01.png" data-origin-width="1920" data-origin-height="1080"/></span></figure>
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left;" data-ke-size="size16">효성은 지금<span>, HYOSUNG NOW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> 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여러분은 어떤 일자리를 택함에 있어 어떤 부분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있나요<span>?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좋은 일자리는 <span>‘</span>제 자리<span>, </span>설 자리<span>, </span>살 자리<span>’ </span>세 가지 모두를 만족한다고 하는데<span>, </span>이 모든 것을 충족하는 일자리를 찾기 란 쉽지 않습니다<span>. </span>하지만 이런 부분을 만족하면서 앞으로 주목받을 일명 <span>‘</span>유망 직업<span>’ </span>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요<span>? 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이번 <span>HYOSUNG NOW</span>에서는 환경과 <span>‘ESG’</span>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딱 맞는 미래 유망 직업인 그린잡<span>(Green Job)</span>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<span>.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> 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6edb8b;"><b>그린잡, 언제부터 등장했을까?</b>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그린잡은 흔히 <span>‘</span>녹색 일자리<span>’</span>로 불리는데요<span>. ‘</span>지구 환경과 생태계 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자리<span>’</span>를 뜻해요<span>. </span>환경의 중요성이 세계적으로 강조되며<span>, ‘</span>그린잡<span>’</span>이라는 개념이 등장했어요<span>.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>‘</span>그린잡<span>’</span>이라는 용어는 <span>2008</span>년 본격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유엔환경계획은 그린잡을 두고 <span>‘</span>온실가스 감축과 지구환경<span>, </span>생태계 보호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과 관련한 재화<span>, </span>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<span>’</span>이라 정의합니다<span>. 2010</span>년<span>, </span>미국 노동통계국은 <span>‘</span>환경이나 천연자원에 이득이 되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직업<span>, </span>자원을 덜 쓰고 생산과정이 더 친환경적인 직업<span>’</span>을 그린잡으로 정의하는데요<span>.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오늘날 그린잡은 이 모든 개념을 합쳐<span>, </span>환경을 지키고 자원을 덜 사용하며 오염되거나 훼손된 부분을 재생하는 데 이바지하는 직업을 총칭하는 용어로 인식됩니다<span>. </span>녹색 일자리<span>, </span>그린 칼라로도 불리며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할 때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방향으로 돕고<span>, </span>재생에너지 사용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며<span>, </span>생태계 전반을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키는데 필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<span>.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filename="02.png" data-origin-width="1920" data-origin-height="1080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6G4hd/btsEz8ZdXZr/75nHKSZfJAxhP9aHAfIfek/img.png" data-lightbox="lightbox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6G4hd/btsEz8ZdXZr/75nHKSZfJAxhP9aHAfIfek/img.pn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6G4hd%2FbtsEz8ZdXZr%2F75nHKSZfJAxhP9aHAfIfek%2Fimg.pn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filename="02.png" data-origin-width="1920" data-origin-height="1080"/></span></figure>
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6edb8b;"><b>그린 뉴딜(Green New-Deal)과 각국의 그린잡 정책</b>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>1930</span><span>년대 미국의 대공황을 이겨낸 루스벨트 대통령의 <span>‘</span>뉴딜<span>’ </span>경제 정책에서 차용한 말로<span>, </span>지속 가능한 환경을 이루기 위해 실시하는 경제 발전 정책을 뜻합니다<span>. </span>그린 뉴딜은 탄소 의존 경제에서 저탄소 </span><span>· </span><span>친환경 경제로 도약해 나가고자 탄소 배출 제로화<span>(Net-Zero)</span>를 목표로 하는데<span>, </span>이 과정에서 수많은 그린잡이 창출되고 있어요<span>. </span></span>그린잡은 전 세계적으로 지난 <span>5</span>년 사이 약 <span>38% </span>늘었으며 그 수요는 계속 증가할 전망입니다<span>. </span>특히 세계 정책 트렌드를 보면 세계 각국에서 환경과 관련한 정책을 확대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그린잡 시장은 지금보다 앞으로 더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요<span>.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b>미국</b> 바이든 정부는 그린딜 정책 공약을 내세우며<span>, </span>친환경 일자리 <span>1,000</span>만개를 창출하겠다 밝혔는데요<span>. </span>이미 <span>2010</span>년부터 중앙정부 차원에서 그린잡 통계를 매년 발표하고<span>, </span>그린잡 법률<span>(US Green Jobs Act 2007)</span>을 제정해 인재 육성을 위한 관리체계도 마련해 두었죠<span>.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b>프랑스</b>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원 시스템과 산업 전반은 물론<span>, </span>일상생활에 적용되는 규제를 도입했는데요<span>. </span>친환경차 연구 개발 보조금을 지원하고<span>, ‘</span>녹색성장을 위한 에너지 전환에 관한 법률<span>(2015)’, ‘</span>낭비 방지 순환경제에 관한 법률<span>(2020)’ </span>등을 도입해 그린잡 시장 성장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<span>.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b>영국</b>은 <span>2050</span>년 탄소배출 제로를 목표로<span>, </span>최대 <span>25</span>만대 녹색일자리를 만들겠다 밝혔는데요<span>. 2020</span>년 <span>11</span>월에는 이를 위한<span> 10</span>대 중점 계획이 발표되었고<span>, </span>주요 선진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세우고 있어요<span>. 2030</span>년까지 <span>1990</span>년 대비 <span>60%</span>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<span>, 2050</span>년까지 <span>120</span>억 파운드를 투자할 계획입니다<span>. 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6edb8b;"><b>무궁무진한 그린잡과 일자리의 녹색화</b>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그린잡은 다양한 형태로 생기고<span>, </span>확대되며<span>, </span>발전하는데요<span>. </span>친환경 기술이 새롭게 개발되면 새로운 직업<span>(</span>신생 그린잡<span>)</span>이 생깁니다<span>. </span>기존의 직업에 친환경 기술이 접목되며 그린잡으로 전환되기도 하고요<span>. </span>그린잡으로 전한됨에 따라<span>, </span>기존의 직업이 점차 소멸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<span>.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그린잡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에 따라 에너지 고효율화 <span>· </span>산업이나 공간의 녹색화 <span>· 환경보호와 자원 순환 · 저탄소 경제 활동 지원 관련 직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<span>. </span>전기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<span>, </span>나무 의사<span>, </span></span>친환경 포장 관리자<span>, </span>환경 컨설턴트<span>, </span>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연구원<span>, </span>환경 작가<span>, </span>스마트 그리드 전문 엔지니어<span>, </span>바이오가스 코디네이터 등이 그린잡으로 등장하며 주목받고 있는데요<span>. </span>그린잡의 종류는 모든 직업군에서 무궁무진하게 창조되고<span>, </span>발전하고 있습니다<span>.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또한 새롭게 생기는 일자리만 그린 잡이 되는 것은 아니라 기존 일자리의 기술 혹은 생산 과정<span>, </span>환경을 바꾸며 이미 <span>‘</span>녹색화<span>’ </span>된 직업도 있습니다<span>. </span>건축 분야에서는 부지를 선정하고 자재를 선택할 때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는 환경 영향 평가 기술인 큰 경쟁력이 되고 있고<span>, </span>이동 수단 분야에서는 버스 공영제를 시행해 대중교통 사용 비율을 크게 늘린 지자체에 눈길이 쏠리고 있어요<span>.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filename="03.jpg" data-origin-width="3600" data-origin-height="1884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qRnx/btsEvXq3rgB/EFJP45ugZ7PxoEciwAQg6K/img.jpg" data-lightbox="lightbox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qRnx/btsEvXq3rgB/EFJP45ugZ7PxoEciwAQg6K/img.jp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lqRnx%2FbtsEvXq3rgB%2FEFJP45ugZ7PxoEciwAQg6K%2Fimg.jp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filename="03.jpg" data-origin-width="3600" data-origin-height="1884"/></span></figure>
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6edb8b;"><b>RE100 & CF100</b>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>RE100(Renewable Electricity 100%)</span>은 기업이 사용 전력 전부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고 선언하는 자발적 캠페인입니다<span>. CF100(Carbon Free 100%)</span>은 사용 전력 전부를 탄소 배출이 없는 상태로 공급하겠다는 캠페인인데<span>, </span>여기에는 재생에너지 외에 원자력 에너지<span>, </span>연료 전지 등도 포함됩니다<span>. </span>기업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기존 일자리를 녹색화 하는 등 선순환을 이끌고 있습니다<span>.</span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hr data-ke-style="style1" data-ke-type="horizontalRule" /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b><span>지구와 나 모두에게 보탬이 되는 착한 일자리 ‘그린잡’. </span></b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b><span>그린잡으로 푸릇해지는 지구를 꿈꿔봅니다!</span></b></p>
↧